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GitHub
- orm #prisma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개발 #프로그래밍 #개발도구 #타입안정성 #api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Continuous
- HTML/CSS
- CloudFront
- deployment
- oz #과제 #stackblitz
- Actions
- ts #typescript #js #javascript
- yml
- gitflow #버전관리 #소프트웨어개발 #협업 #브랜치전략 #개발방법론
- #oz #aws # jam #풀스택 #1기
- ci #cd
- deploy
- integration
Archives
- Today
- Total
ybeen 님의 블로그
Part 3. CloudFront설정 본문
저번 Part2는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방법을 알아봤으면
이번 Part3에서는 CloudFront를 이용해 HTTP를 HTTPS로 바꾸는 방법을 진행하겠음
- CDN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
- CloudFront를 CDN서비스라고도 표현함
- CloudFront
- 전 세계 여러 지역에 위치한 서버(임시 저장소)를 통해 사용자에게 웹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즉, 콘텐츠(파일, 동영상등등)를 빠르게 전송해주는 서비스
- CloudFront의 작동 과정
- 한국과 거리가 먼 나라의 데이터들을 한국에 받아 오려면 거리가 멀어 시간이 걸린다
- 전 세계 곳곳에 컨텐츠(파일)의 복사본을 주기적으로 저장해 놓을 수 있는 서버(임시 저장소)를 구축
- 서버를 구축해 놓음으로써 사용자가 이용 시 가까운 서버(임시 저장소)에서 콘텐츠를 불러와 이용함
- CloudFront를 사용하였을 때의 이점
- 콘텐츠를 전송 받는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
- S3는 HTTPS 적용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서 CloudFront의 HTTPS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전송해 줌
- CloudFront를 사용한 아키텍쳐 구성
- 사용자 : 웹 브라우저(URL)를 통해 요청
- Route 53 : 도메인 이름을 CloudFront에 1)라우팅
- CloudFront
- 전 세계 분산되있는 서버(임시 저장소)들의 콘텐츠를 2)캐싱해 사용자에게 전달
- 콘텐츠가 CloudFront에 없을 시 S3 3)버킷(정적 콘텐츠) 또는 EC2 4)인스턴스(동적 콘텐츠)에서 데이터를 가져옴
확실하진 않지만 알아보기 쉽게 정리함
1) 라우팅 -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 보냄
2) 캐싱 - 저장소보다 가까운 곳에 임시 저장하여 필요 시 더 빠르게 불러오는 프로세스
3) 버킷 - 하나의 저장소
4) 인스턴스 - 가상 서버
CloudFront 설정
- CloudFront에 들어가 배포 생성을 눌러 들어가줌
- Origin domain 목록을 눌러 자기가 part2에서 생성한 배포주소를 클릭하고
- 밑에 와 같이 part2에서 배포했던 도메인을 넣어주고 밑에 엔드포인트 사용을 눌러줌
- 다음것들은 다 생략하고 뷰어 프로토콜 정책에서 두번째 리다이렉트로 바꿔준다
- HTTP로 접속해도 HTTPS로 바꿔주는거임
- 보안 보호 비활성화 해줌(추후 바꿔줘도 됨)
- 공부 실습용으로 쓸것이기에 (이것도 추후에 바꿀 수 있음)
- 상황에 맞춰 세팅하면 됨
- 반환하는 객체는 index.html로 설정하면됨
그러면 이제 다음 Part 4로 가봅시다
다음 Part https://ybeen.tistory.com/14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 5. Github Actions정의와 적용 방법 (0) | 2024.11.28 |
---|---|
Part 4. AWS 배포를 도메인에 연결하기(무료 사이트이용) (0) | 2024.11.26 |
Part 2. AWS S3 버킷생성 및 정책설정 (0) | 2024.11.26 |
Part 1. 기본 React 프로젝트 만들기 및 AWS 배포부터 도메인 연결하기 (0) | 2024.11.26 |
오즈코딩스쿨XAWS 해커톤 (1)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