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yml
- HTML/CSS
- orm #prisma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개발 #프로그래밍 #개발도구 #타입안정성 #api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oz #과제 #stackblitz
- integration
- Actions
- Continuous
- deploy
- CloudFront
- #oz #aws # jam #풀스택 #1기
- ci #cd
- deployment
- ts #typescript #js #javascript
- GitHub
- gitflow #버전관리 #소프트웨어개발 #협업 #브랜치전략 #개발방법론
- Today
- Total
ybeen 님의 블로그
(MAC)connect ECONNREFUSED 127.0.0.1:27017, connect ECONNREFUSED ::1:27017 에러 및 Error 3584 본문
(MAC)connect ECONNREFUSED 127.0.0.1:27017, connect ECONNREFUSED ::1:27017 에러 및 Error 3584
ybeen 2024. 10. 13. 22:21나는 Window랑 Mac랑 같이 병행하며 공부한다 (Mac은 부트캠프 참여하여 대여받은것이다)
왜냐면 두개 다 써보고 싶은건 내 욕심ㅎㅎ.. 물론 두배로 손이 간다
그러면서 에러나 문제이슈시 해결방안도 두배로 찾아봐야함 (사서 고생하는 스타일)
데이터베이스를 배우며 MySQL 다음
MongoDB를 배우기 위해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며 진행하였다
설치가 끝나고
MongoDB 서비스를 시작을 하기위해
여기까지는 순조로웠다..
MongoDB compass를 실행하고
Add new connection버튼을 눌렀는데
connect ECONNREFUSED 127.0.0.1:27017 Error 발생......하.... 스트레스 너무 받는다..
다들 한번씩은 있을것이다 설치하다 에러가 뜨면 막막함부터 앞선다는걸...
왜 이런 에러가 뜨는지 원인부터 알아보니
MongoDB 서버에 연결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고한다
그래서 구글링을 해보니
brew services stop mongodb-community@6.0
brew services start mongodb-community@6.0
실행하면 대부분 해결됐다는 결과가 대다수
정상적으로 중단이나 실행은 잘되지만
아직 connect ECONNREFUSED 127.0.0.1:27017 Error 발생
서버 리스트를 보자 (이미지가 없다...)
brew services list
이걸 입력하면 서버 상태가 뜨는데
mongodb-community@6.0 status 상태를 보니 Error로 뜬다..
해결방법을 찾아 하나하나 진행하는데 그 하나하나 전부 해결되지않았다..
진짜 고구마 10개이상 먹고 물을 먹고 싶은데 물이 없는 느낌ㅠㅠ
(블로그 글 임시저장 해놓고.. 해결방법 찾는중... 2일째인건 안비밀....)
window랑 같이 병행하며 쓰는데 window도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었다
윈도우에선 시스템 환경 변수의 Path에서 새로만들기 누른 후 설치경로를
추가 했더니 이후 잘 작동됬는데
mac은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고민이 크다..
위에 오류는 아직도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다...
계속 지웠다 다시 설치했다 반복했었는데
지푸라지 잡는 심정으로 compass를 지우고 영상을 참고하여 재설치해봤다
두둥탁!
이번에 스트레스를 날려줄
해결 방법을 찾았다

https://youtu.be/MyIiM7z_j_Y?si=FdugxpUKYQY-U-V0
위에 영상을 참고하여 다시 설치 하니까
ㅋㅎㅋㅎㅋㅎㅋㅎㅋㅎㅋㅎㅋㅎㅋㅋㅎㅋㅎㅋㅎㅋ
별다른 에러 이슈없이 성공했다.
영상에서 다운로드로 설치하는거 다 똑같고
Mongo campass를 Application에 넣어주는 추가 작업이 하나 있다
내 생각엔
Mongo campass를 Application에 넣어주는 작업을 안해서 그런거 같기도하고..ㅎ
끝!
인줄 알았으나 윈도우로 진행하다
일주일?정도 지나고 다시 mac으로 돌아오니...
에러 발생 status상태가 Error
mongodb-community@6.0 error 15872
..........
터미널에서 mongosh 입력하니
MongoNetworkError: connect ECONNREFUSED 127.0.0.1:27017
서버에 연결할수없다고 뜬다
brew info mongodb-community@6.0 입력해 정보를 보자
==> Dependencies
Recommended: mongodb-database-tools ✔, mongosh ✔
==> Options
--with-enable-test-commands
Configures MongoDB to allow test commands such as failpoints
--without-mongodb-database-tools
Build without mongodb-database-tools support
--without-mongosh
Build without mongosh support
==> Caveats
To restart mongodb/brew/mongodb-community@6.0 after an upgrade:
brew services restart mongodb/brew/mongodb-community@6.0
무슨말인진 모르겠으나 뭐 위 log에선 잘 설치됬다고는 나오는거 같다
(구글링해보니 다른 사람 log에는 뭘 생성하라고 나오는거 같다)
그러면 Homebrew를 사용하여 MongoDB 서비스를 중단했다 재시작하는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brew services restart mongodb/brew/mongodb-community@6.0
==> Successfully stopped `mongodb-community@6.0` (label: homebrew.mxcl.mongodb-c
==> Successfully started `mongodb-community@6.0` (label: homebrew.mxcl.mongodb-c
라는 log가 뜬다 희망이 보이는거 같다
다시 리스트를 확인해보자
brew services list 입력
이번엔
error 15872 ➡️ error 3584
이렇게 바뀌었다,, (숫자가 낮아진것만으로 편안해진다)
찾아보니 소유권 문제란다.
나는 여기서 mongodb-community@6.0 지우고
뭐하고 다시 설치하고 시간낭비를 많이했다..
Error 3584 가 뜬다면 이것만 따라하면 될거같다
첫번째
// 소유권을 확인해주고 기본이 27017인데 다르다면 27018 27019 이런식으로 변경하면 될거같다
ls -l /tmp/mongodb-27017.sock
// 이렇게 출력이 됬고
/tmp/mongodb-27017.sock
두번째
//파일을 삭제해준다
sudo rm -rf /tmp/mongodb-27017.sock
//위 처럼 입력하면 비밀번호가 뜬다 비밀번호 입력해주고
세번째
// 재시작해준다
brew services restart mongodb-community@6.0
이렇게해서 결과는?!?
정상적으로 해결됬다!
끝!